본문 바로가기

dev/TDD2

TDD 하기전 개념잡기 [1] [ Test Double] 테스트 더블 Test Double 이란 실제 객체를 대신하여 테스팅에서 사용하는 모든 방법을 일컬여 호칭하는 것이다. - 영화 촬영시 위험한 역할을 대신하는 스턴트 더블에서 비롯되었다. 역할 테스트 대상 코드를 격리합니다. 테스트 속도를 개선합니다. 예측 불가능한 실행 요소를 제거합니다. 특수한 상황을 시뮬레이션합니다. 테스트 대역의 필요성 테스트 대상에서 의존하는 요인 때문에 테스트가 어려워질 때 필요한 것이다. 테스트를 작성하다 보면 외부 요인이 필요한 시점이 있는데, 다음은 외부 요인이 테스트에 관여하는 주요 예이다. 테스트 대상에서 파일 시스템 사용 테스트 대상에서 DB로부터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데이터를 추가 테스트 대상에서 외부의 HTTP 서버와 통신 이러면 테스트가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외부 API 서버.. 2022. 4. 3.
TDD (Coverage 읽는법) TDD tdd 해도 err가 안나느냐?? 아니다 err 가 다난다. test coverage 내코드가 테스트에의해서 내모드코드가 테스팅 되고잇느냐 커버리지가 100센트면 모든코드가 테스팅되고있는것이다 tdd 해서 커버리지가 100퍼센트라면 err 안나느냐 그것도아니다 100퍼센트면 황당한 err를 방지가능할뿐이다. 예를들어 변수 지정을 잘못하거나 오타같은경우,,, 스스로를 자책하는 버그들을 막을수있다. 그래서 test code는 많이 짤수록 좋다 ------------------------|---------|----------|---------|---------|---------------------------------- File | % Stmts | % Branch | % Funcs | % Lines.. 2021.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