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Kubernets

Kubernets(쿠버네티스) 기본 용어 정리

Box 2021. 10. 22. 17:13
728x90

Node

  • (미니언) 쿠버네티스의 worker 머신.
    워커 머신은 클러스터에 속하는 VM이거나 물리 머신이다. 노드는 Pod들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들을 가지며, 마스터 컴포넌트에 의해 관리된다. 노드 상의 서비스들로는 도커, kubelet, kube-proxy가 포함된다.

Cluster

  • '노드'라고 불리는 머신들의 집합.
  • 쿠버네티스가 관리하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함.
  • 클러스터는 여러 개의 워커 노드와 1개 이상의 마스터 노드로 구성된다.

Pod(포드)

  •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배포 단위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단위이다.
  • 쿠버네티스의 특징중의 하나는 컨테이너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Pod 라는 단위로 배포하는데, Pod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KubetCtl(큐브 컨트롤)

  • 쿠버네티스 API 서버와 통신하는 커맨드라인 도구.
    kubectl을 이용하여 쿠버네티스 객체를 생성, 검사, 업데이트, 삭제할 수 있다.

etcd(엣지디)

  • 모든 클러스터 데이터를 담는 쿠버네티스 뒷단의 저장소로 사용되는 일관성·고가용성 키-값 저장소.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정보를 담고 있는 etcd 데이터에 대한 백업 계획은 필수이다. 
  • ETCD는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는 클러스터들의 key-value 저장소 입니다. 모든 클러스터의 모든 데이터 담고 있는 DB 입니다

istio(이스티오) - 쿠버네티스 서비스메쉬 기술

  • 서비스 메쉬
    • 통신 및 네트워크 기능을 비즈니스 로직과 분리한 네트워크 통신 인프라입니다
  • 이스티오
    • 서비스 메시가 더 복잡해지기 전에 이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 feat - https://www.ciokorea.com/news/115704
 

쿠버네티스 서비스 메시 기술, '이스티오'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몇몇 문제를 해결하지만 그 와중에 다른 문제를 낳는다.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 서비스들로 분할한다면 개발, 업데이트, 확장이 단순해진다. 동시에 연결하고 안전

www.ciokorea.com

helm(헬름)

  • 패키지 관리 도구고, 차트가 리소스를 하나로 묶은 패키지에 해당한다. 헬름으로 차트를 관리하는 목적은 자칫 번잡해지기 쉬운 매니페스트 파일을 관리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 매니페스파일??
    •  컴퓨팅에서 집합의 일부 또는 논리정연한 단위인 파일들의 그룹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의 파일들은 이름, 버전 번호,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구성 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knative